본문 바로가기
리빙

치약 전성분 주의사항 SLS 미백치약 불소치약

by Lelei 2025. 2. 12.
320x100

치약 속 성분들 중에서 특히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와 불소의 영향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SLS의 잠재적 위험성과 불소 치약 사용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약을 선택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1. 치약 속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SLS)의 실체

치약에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LS)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백혈병과 유방암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이 강한 성분입니다. SLS는 치약이 거품을 잘 내도록 돕고, 음식에서 발생하는 기름기를 제거하며, 치약 내 다른 성분과 잘 섞이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치약에 SLS가 포함되어 있으며, 소비자들은 거품이 없는 치약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SLS를 포함한 치약이 주로 사용됩니다.

치약 전성분 주의사항 썸네일

2. 치약 속 위험한 성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LS)와 고체 치약의 필요성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LS)는 제초제와 탱크 속 기름때 제거제에서도 사용될 만큼 강한 독성을 지닌 성분입니다. SLS는 피부에 침투하게 되면 눈, 뇌, 심장 등으로 체내 흡수되고, 아이들에게는 발육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성인에게는 안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고체 치약이 SLS가 들어가는 액체 치약보다 훨씬 안전하며, 천연 개면 활성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건강한 선택으로 권장됩니다. 고체 치약은 사용법이 번거롭고 가격이 비싸지만, 안전성을 고려할 때 고려해 볼 만한 선택입니다. 액체 치약의 경우, 대개 물과 불필요한 화학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체 치약에서는 이러한 유해 성분이 제거됩니다.

 

3. 불소 치약의 장단점과 안전 사용법

불소는 세균이 생성하는 산을 억제하고, 치아에 무기질이 결합하는 과정을 강화시켜 치아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불소의 독성이 강해 지나치게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 신장 손상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같은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상치와 같은 치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불소 치약 사용을 피해야 하며, 유아는 두 불소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나이가 들면 저불소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치약 사용 후에는 10번 이상 헹구는 것이 추천되지만, 불소가 입안에 남아 있어야 구강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불소의 강한 독성을 인식한 채로 치약을 선택해야 합니다.

 

4. 미백 치약의 실체와 주의사항

미백 치약은 치아를 하얗게 만들지 못하며, 한국 안면 통증 학회에 따르면 미백 효과는 없다고 합니다. 미백 효과를 내는 성분인 과산화수소의 최대 농도는 3%이며, 이는 일반적인 사용량에서는 미백 효과를 줄 수 없다고 합니다. 과산화수소 농도가 고농도로 포함된 미백 치약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며, 치아 손상 및 과민증, 법랑질 변화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백 치약을 장기간 사용하면 치아에 실질적으로 해를 끼칠 수 있으며, 구강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치아를 하얗게 하고 싶다면, 음료를 마신 후 입을 잘 헹구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5. 해외 유명 치약과 전성분 확인의 중요성

이탈리아의 마비스, 독일의 아조나, 영국의 유서울, 대만의 치약 등 다양한 해외 유명 치약이 존재합니다. 해외 유명 치약에도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유해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성분 확인은 필수입니다. 

국내 치약이 오히려 전성분 관리가 더 철저할 수 있습니다. 치약 전성분에는 유게놀, 리모넨, 벤질알콜 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미백 치약에는 실리카 성분이 들어갑니다. 

특정 증상에 따라 치약 선택이 중요한데, 불소가 1000 ppm 이상 함유된 치약이 충치에 도움이 되고, 잇몸 염증에는 혈류 개선 성분이 효과적입니다. 

320x100

댓글